본문 바로가기

1. 민간투자사업/(1) 도로, 철도

GTX `2017년 개통` 만만찮네

 

경기도만으론 사업시행 벅차…서울·인천·경기 갈등도 변수
유기적 교통시스템 마련해야

서울 경기 인천 지하에 고속철도를 건설해 1시간대 생활권으로 묶는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사업이 최근 국가기간교통망계획 제2차 수정계획에 포함됐다. 경기도가 제안한 사업을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겠다는 뜻이다.

경기도는 GTX를 2017년 말부터 정상 운행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는 민자사업 타당성(7월)우선협상대상자 선정(내년 초), 기본ㆍ실시계획(내년 6월), 실시협약(내년 8~9월)이 원만히 진행돼 2012년 말 착공했을 경우 얘기다.

그러나 상황은 만만치가 않다. GTX 3개 노선이 3개 시ㆍ도 관할을 넘나들고, 사업을 진행할 때 고려해야 할 변수가 많기 때문이다.

당장은 사업시행 주체를 누구로 할 것이냐가 관건이다. GTX 아이디어는 경기도가 냈지만 지자체가 사업을 주도하기에는 부담이 너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시각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국토부가 청와대에 경기도 주관으로 진행하는 방안을 건의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원활히 진행되려면 국가 몫으로 돌리는 게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2017년 완공을 좌우할 두 번째 과제는 GTX에 대한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의 시각 차를 얼마나 좁힐 것이냐이다. GTX 145.5㎞ 가운데 절반이 지나가는 서울시는 애초 경기도가 이 사업을 제안할 때만 해도 "자체 지하 활용 계획이 있다"면서 달가워하지 않았다. 서울시 지하도로 프로젝트인 `U-Smart Way`가 GTX 사업과 대치되기도 했다. 경인익스프레스에 호감을 보이던 인천시가 GTX에 더 관심을 보이면서 서울시의 선택이 중요해졌다.

마지막으로 역사와 연결될 `연계교통시스템`을 어떻게 설계하느냐도 사업 활성화에 중요한 잣대가 되고 있다. 경기도 등은 민간 사업자들이 총사업비 10조원 선에서 GTX 사업을 제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GTX 역사 22곳에서 원활한 환승이 이뤄지려면 역사를 입체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데 한 곳 개발에만 500억~1000억원의 막대한 재원이 소요된다.

경기도 등은 연계교통시스템을 확실하게 만들어 역사 사업성을 높여줄 테니 역사 개발은 사업자가 맡아줬으면 좋겠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연계교통시스템에서 사업자에게 확신을 주지 못하면 GTX 활성화는 난관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지홍구 기자]

출처 : 매일경제 2011-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