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민간투자사업/(6) 업계환경

4분기 GDP '제로성장'하나

 

산업생산등 각종 지표 악화에 일부 민간硏 마이너스 전망도
 


 
산업활동동향을 포함한 각종 경기지표가 잿빛으로 변하는 가운데 4ㆍ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하락폭이 예상보다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일부 민간연구기관과 해외투자은행(IB)이 점치는 것처럼 전분기 대비 마이너스로 가라앉는 상황까지 올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해도 일시적으로 경기둔화의 골이 깊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2일 기획재정부ㆍ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3ㆍ4분기 실질 GDP는 전기 대비 0.7%, 전년동기 대비 4.4% 각각 증가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지난해 1ㆍ4분기부터 7분기 연속 전기 대비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셈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정부 주도의 경기회복에서 바통을 이어 받은 민간이 올 상반기부터 제조업 중심으로 생산을 증대시키며 고용회복과 소비심리 개선을 이끌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4ㆍ4분기다. 지표상으로 봐도 GDP의 전기 대비 증가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며 성장둔화를 예고하고 있다. 여기다 GDP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음에도 경제주체들이 체감하는 실질 국민총소득(GNI)이 3ㆍ4분기에 전기 대비 0.2% 증가하는 데 그쳤다.

경기둔화의 직접적 시그널은 산업활동지표에서 예고됐다. 10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4.2%로 2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반도체ㆍ자동차를 중심으로 제조업의 재고조정 압박이 강해지며 시장의 예상을 크게 빗나간 하락세를 보였다.

노무라증권은 "10월 광공업 생산이 예상했던 0.8%보다 크게 낮은 계절조정 전월비 4.2%나 감소했고 수출도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며 "4ㆍ4분기 GDP 성장률이 전기 대비 0.1% 하락세로 돌아서고 올해 연간 성장률도 6% 아래로 내려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여기다 유럽 재정불안, 북한 리스크 등 대외불안 요인과 반도체ㆍ자동차 등 우리 경제를 이끄는 주요 제품의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한은은 지난해 11월부터 상승세를 유지해온 산업활동지표의 기저효과와 전략적 재고조정 등의 영향으로 올해 GDP 성장률이 당초 전망치인 6%를 웃돌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영택 한은 국민계정실장은 "지출항목에서는 소비와 투자 등 민간지출이 전체 성장을 끌고 가기 때문에 민간의 자생력은 충분히 회복됐다"며 "GDP 증가율이 4ㆍ4분기에 전기 대비 마이너스를 나타낼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고 전망했다.
출처 : 서울경제 201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