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민간투자사업/(6) 업계환경

철도위주 건설정책에 업계 희비교차

 

철도건설 입찰 참여사 도로의 절반

 정부가 신규도로 건설을 억제하고 철도 건설에 비중을 높이기로 하면서 건설업계의 희비가 교차하고 있다.

 대형건설사를 중심으로 철도 건설실적이 풍부한 건설사는 입장을 유보하고 있지만, 실적이 부족해 입찰 참여기회가 없는 중견사들은 당혹해하고 있다.

 1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신규도로 건설을 억제한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향후 공공부문 건설시장의 수주환경 변화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곳은 철도 건설실적이 부족한 건설사들.

 그동안 주택을 비롯해 건축에 주력했던 시공능력평가액 20위권의 한 건설사 관계자는 “토목공사 실적이 풍부한 대형사들은 유리하겠지만 건축위주의 업체들은 더 어려울 수밖에 없다”며 “시장이나 정부정책이 점점 대형사 위주로 흘러가는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 대형 도로건설공사의 입찰 참여사들이 50∼60개사라면, 비슷한 공사비의 철도건설공사에는 30개사 내외가 입찰에 들어오고 있다. 철도 건설공사 입찰 경쟁률이 도로 건설공사 입찰 경쟁률의 절반 수준이다.

 도로가 철도로 전환되는 상황을 가정하면, 30개사 정도가 입찰 참여기회를 잃어버리는 셈이다.

 게다가 철도공사의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입찰 참여기회를 얻는 건설사 수는 더 줄어들 수밖에 없다.

 또다른 중견사 관계자는 “경쟁률이 낮아지는 만큼 업계의 입찰 참여기회도 줄어드는 셈”이라면서도 “더 중요한 것은 최근에는 철도에 건설되는 터널공사 실적이 입찰참여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최근 철도건설공사 가운데 평야지대에 건설되는 호남고속철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터널 길이가 길어서 터널 공사실적이 입찰참가자격 제한 기준이 됐다”는 것이다.

 반면 철도실적이 풍부한 건설사들은 딱히 불리할 것도 유리할 것도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실적이 없는 건설사에 비해서는 낫겟지만 철도 건설물량이 늘어나지 않는다면 얻을 게 없기 때문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정부의 정책이 도로를 억제하겠다는 것이지, 철도 건설공사가 갑자기 늘어나는 것을 위미하지는 않는다”며 “총량 기준으로 공사물량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환영할 일이 아니다”라고 못박았다. 

    김정석기자 jskim@
출처 : 건설경제 2010-10-18